경제공부, 돈이란 무엇인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자본주의

소개

인류 역사에서 자본주의 출현한 시간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경세제민(經世濟民)이라는 말을 아시나요? 경세제민의 줄임말이 경제입니다. 뜻은 세사를 잘 다스려 어려움에 빠진 백성을 구한다는 뜻입니다. 이 글에서 경제를 알기 위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돈이란 무엇인가?

경제를 알기 위해서는 돈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 돈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습니다. 우리는 돈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가장 먼저 금융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전 500원이였던 자장면이 지금은 6,000원이 넘어 가고 있다. 물가가 많이 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이 만나는 곳이 가격을 결정하게 됩니다. 물가가 오르는 것은 공급이 부족하거나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유가 이것 뿐일까요? 예를 들어 집값이 오르는 것은 다른 이유입니다. 이것은 돈이 많아 졌기 때문인데 통화량이 많아 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돈이 많들어지는 곳은 어디 일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폐공사에서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돈을 찍어내니 맞는 말이지만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의 일부일 뿐이다. 대부분의 돈은 실물화폐로 존재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에서 100원을 찍어내어 은행에 줬다고 해보겠습니다. 이때 A라는 회사에서 100원을 대출을 받아 공장의 설비등을 구축했습니다. 회사는 이자와 원금일부인 50원을 은행에 갚았습니다. 은행은 다시 50원을 B라는 회사에게 대출을 해주어 설비 등을 구축했습니다. 이렇게 돌아간다고 생각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100원이라는 한도 내에서 돈이 굴러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더 많은 돈이 굴러다니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 할까요?

내가 100원을 금고에 넣어두면 100원은 더 이상 늘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가 은행에 100원을 넣어둔다면 은행은 그냥 금고에 넣어두지 않습니다. 은행은 100원이 있다면 10원만 남겨두고 90원을 대출해 줄 수 있습니다. 그럼 A라는 사람이 90원을 대출을 했다고 해봅시다. 내 통장에 100원이 찍혀있고 A라는 사람의 통장에도 대출받은 90원이 찍혀있습니다. 총 190원이 된 것입니다.

 

​​



​​

 

지급준비율과 통화량

위 내용을 이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위 내용에서 90원은 어떻게 생겼으며 은행은 왜 10원을 남겼을 까요? 이유는 정부가 이렇게 해도 된다고 허락을 해주었기 때문입니다. 10원을 남긴 이유는 부분 지급 준비율 10% 때문인데요. 은행이 예금 고객에게 줄 돈을 쌓아 둬야 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지급준비율은  7%입니다.

지급 준비율은 영국 사람들이 금 세공업자에게 금의 안전을 위해 맡기던 것에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금을 세공업자에게 맡기게 되면 보관증을 써주었는데, 사람들이 보관증으로 거래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세공업자는 금화을 찾으러 잘 찾아 오지도 않으니 금화를 빌려주고 이자를 받기로 합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이 알려지게 되고 보관을 의뢰한 사람들이 항의를 하자 세공업자는 이자의 일정부분을 주기로 합니다.

세공업자는 머리를 굴려 있지도 않은 금화를 빌려주기 시작합니다. 있지도 않은 금으로 이자를 받은 것입니다. 세공업자가 은행이 된 샘입니다. 그러다 발각이 되고 금을 맡긴 사람들이 모두 몰려와 금을 다시 회수해 갑니다. 이것을 뱅크런이라고 합니다. 지금 시중은행들에도 뱅크런이 일어난다고 은행은 망하게 됩니다.

이때 영국왕실에서 세공업자에게 찾아와 가상의 돈을 만들어 대출영업을 할 수 있게 허가해 주었습니다. 이렇게 은행이 생겨나게 되었고 현대 은행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급준비율이 10%일때 어떻게 불어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00억이 은행에 들어오면 지급준비율 10%인 10억을 남겨두고 90억을 A은행에 대출을 해줍니다. 이렇게 생긴 90억을 신용통화라고 합니다. 그럼 총 통화량은 190억이 되었습니다. 그럼 A은행은 지급준비율 10%인 9억은 남겨두고 81억을 B은행에 대출을 해줍니다. 이렇게 여러번 대출을 한다고 해봅시다.

100억 + 90억 + 81억 + 72억 + 65억 + 59억 이런 방식으로 계속 돈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것을 신용창조라고 합니다. 이렇게 대출을 했을 때 최대 1000억 까지 돈이 불어나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대출이 늘어나야 은행에는 돈이 늘어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통화량이 늘어나게 되면 물가도 같이 오르게 됩니다. 통화량이 늘어나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우리가 많이 듣고 있는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중앙은행이 하는 일은 통화량 조절입니다. 이자율 통제, 화폐 발행입니다. 뉴스에서 금리를 동결 했다 거나 인상했다는 기사를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통화량을 조절하고 있으며 화폐를 찍어서 조절을 하기도 합니다. 화폐를 찍어 통화량을 늘리는 방법이 양적완화라고 합니다.

그런데 중앙은행에서 화폐를 찍어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에서 딱 100만원만 발행했다고 해봅시다. A가 100만원을 연5%이자로 대출을 했고 100만원으로 배를 한 척 사서 일을 열심히 했습니다. 그러면 A는 1년뒤 100만원과 5%이자를 갚을 수 있을 까요? 정답은 갚을 수 없습니다. 이유는 딱 100만원만 있기 때문에 5%이자인 5만원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자를 갚기 위해서는 다시 은행에서 5만원을 찍어내서 B라는 사람이 5만원을 대출을 한 뒤 A가 5만원을 벌어야 가능합니다. 그럼 B라는 사람이 빌린 500원에 대한 이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다시 중앙은행은 돈을 찍어 내야 합니다. 이렇게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게 됩니다. 만약 돈을 찍어내지 않는 다면 B라는 사람은 파산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돈이 적게 돌게 되면 월급은 작고 빚은 많고 경제사정이 어두운 사람이 가장 먼저 피해자가 됩니다. 내가 빚을 갚으로 누군가는 파산하게 됩니다.

이런 일이 계속 벌어지면 시중에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돈이 없어지니 돈을 못갚는 사람이 늘어나고 회사는 파산하게 됩니다. 이렇게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앞으로 조금씩 경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이 글을 시작으로 꾸준히 공부해서 작성해보겠습니다.

 

Exit mobile version